광복 후 고등교육의 발전단계는 대략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1단계는 1960년까지의 양적 팽창기(量的膨脹期)로, 배움의 기회를 박탈당했던 국민의 교육열이 급속도로 불붙기 시작하여, 초 ·중등학교를 비롯한 각급학교가 급속히 불어난 시기이다. 이와 같은 양적 팽창의 이면에는 일부 사학(私學)들의 공익성을 도외시한 학원의 기업화 현상이 뒤따라, 1960년도 사립대학의 총학생 정원은 5만 3921명이었는데 재적학생수는 8만 2407명이나 되어, 정원초과 학생수가 무려 50 % 이상이나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과현상은 서울소재 대학에만 있는 일이었고, 지방대학은 오히려 정원에 미달하는 현상이었다. 자녀의 고등교육을 위해서 사람들은 서울로 집중하게 되었고, 이러한 교육인구의 집중은 서울인구 과밀화 현상의 주요원인의 하나가 되기도 하였다. 제2단계는 1970년까지의 통제정비정책기(統制整備政策期)라고 할 수 있다. 즉 1950년대의 양적 팽창정책의 결과, 고등인력의 과잉공급과 이에 따른 고등인력의 실업문제, 간판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수의 증가, 사학의 영리화에 대한 사회의 지탄 등이 일자 대학입시제도의 개혁, 대학생정원령 제정, 국회의 사학특별감사 등의 시책이 펼쳐지는 한편, 학생 ·교수의 질적향상, 교육대학의 승격, 연구풍토의 조성책, 사회봉사기능의 강화책, 학생정원의 억제책, 대학시설의 확보책 등 일련의 통제정책과 정비정책이 실행되었다. 제3단계는 1970년대에 이루어진 장기계획과 개혁의 단계이다. 1950년대의 무절제하고 무계획적인 팽창정책이 1960년대에 와서는 억제일변도의 정책으로 바뀌었으나,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지난 20여 년 동안 극단으로 치닫던 정책에서 탈피하여 보다 합리적인 개선을 시도하였다. 1970년대에 이룩한 중요정책을 보면, 크게는 고등교육 개혁사업과 고등교육의 기회확대를 위한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설치, 고도산업사회에 필요한 중견 직업인력 양성을 위한 초급대학 ·전문학교 ·실업고등전문학교의 전문대학으로의 개편 등이다. 1980년대 이후 고등교육에서 나타난 변화로서는 ① 단기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기능향상에 따른 인식 향상, ② 교육대학의 4년제로의 승격개편, ③ 학사-석사-박사 과정으로 연계되는 과학영재 교육기관으로서 한국과학기술대학(KIST)의 발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