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붙임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음한다.
[붙임2]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11)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한자어, 합성어 및 접두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가 자음으로 끝나고 뒤 단어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 ‘ㄴ’을 첨가시켜 발음함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앞 요소의 받침은 첨가된 ‘ㄴ’ 때문에 비음으로 발음된다. 예컨대 ‘짓이기다.’는 ‘ㄴ’이 첨가되어 ‘짓-니기다’와 같이 되고 다시 [ㄴ] 앞에서 ‘짓’은 [진]이 되어 결국 [진니기다]로 발음하게 된다. ‘남존여비’는 ‘ㄴ’이 첨가되고 ‘ㄴ’에 의한 역행 동화가 더 이상 불필요하여 [남존녀비]로 발음한다.
 다만. 어떤 단어들은 위와 같이 ‘ㄴ’을 첨가하여 발음하기도 하지만, 표기대로 ‘ㄴ’ 첨가 없이 발음하기도 한다. ‘검열[검ː녈/거ː멸]’ 같은 것이 그것인데, 특히 ‘이죽이죽, 야금야금, 욜랑욜랑’ 등이 그러하다. 그러나 ‘이기죽이기죽’은 ‘ㄴ’의 첨가 없이 발음하고, ‘야옹야옹[야옹냐옹]’은 ‘ㄴ’을 첨가하여 발음한다. 따라서 ‘ㄴ’이 첨가된 경우에는 사전에서 그 발음을 표시하여야 한다.
 붙임 1. ‘ㄹ’ 받침 뒤에서 첨가되는 ‘ㄴ’은 [ㄹ]로 동화시켜 발음한다. 예컨대 ‘수원역’에서는 ‘ㄴ’을 첨가하여 [수원녁]으로 발음되지만 ‘서울역’에서는 [ㄹ]로 동화되어 [서울력]으로 발음한다. 만일 이러한 소리의 첨가가 없을 경우에는 자연	히 앞의 자음을 연음하여 발음한다.
 ‘이글이글’ 같은 단어는 [이글리글/이그리글]의 두 가지 발음이 모두 가능하나, ‘유월 유두’는 [유월류두]로 발음한다. 따라서 ‘ㄹ’의 첨가도 사전에 표시되어야 한다.
 붙임 2. 위와 같은 환경이지만 두 단어를 한 단어처럼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위의 규정에 준한다. 예컨대 ‘한 일[한닐], 할 일[할릴]’ 같은 경우다. ‘잘 입다, 잘 익히다, 못 이기다, 못 잊다’ 등의 경우에는 ‘ㄴ’(또는 ‘ㄹ’)의 첨가 없이도 발음하는데, 이는 두 단어로 인식하고서 발음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자립따]’라든가 ‘[모디기다]’와 같이 연음하여 발음한다. 다만. ‘ㄴ, ㄹ’을 첨가하지 않고 발음하는 예들이다. ‘6.25[유기오]’뿐만 아니라 ‘8.15[파리로]’도 소리의 첨가 없이 발음한다.
 이상은 한자어나 합성어 및 파생어 안에서 소리가 첨가되는 데에 대한 규정이었다. 그런데 ‘-이오?’(이것은 책이오?)를 줄여서 ‘-요?’라고 할 경우에는 ‘ㄴ’이나 ‘ㄹ’의 첨가 없이 받침을 연음하여 발음한다.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