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야~ 디야~ 소리에 빠진 아이들
우리 것이 좋아요
고운 한복이 잘 어울리는 다훈이는 8세 때부터 국악 교육을 받았다. 강령 탈춤과 장구를 익히다 요즘은 토요일마다 서도소리를 배운다. 중학교 1학년생인 다훈이의 누나 은지 양도 6년간 국악을 배웠다.
누나가 먼저 국악을 하고 제가 나중에 배웠는데 더 잘해야겠다는 오기가 생겼어요. 장구는 잘 치고, 단소는 조금 불어요. 그래도 학교에서는 제일 잘 분대요.
다훈이의 강령 탈춤은 수준급이다. 그래서 곧잘 어른들과 함께 공연 무대에 선다.
다훈이도 다른 아이들처럼 서양 음악을 먼저 접했다. 특이한 것은 나중에 배운 국악에 훨씬 흥미를 느낀다는 점.
국악과 서양 음악은 달라요. 국악에서는 우리 것의 멋과 여유를 느낄 수 있어요. 요즘은 서도소리가 정말 좋아요. 서도소리는 빠르고 높고 경쾌해 전라도 지방의 소리와도 달라요.
어린이 국악 교육은 어떻게?
전문가들은 유아기 국악 교육은 우리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5, 6세에는 놀이 형태로 율동과 호흡, 말과 몸의 장단, 국악 동요 등을 익히는 것이 좋다. 이 시기가 지나면 가벼운 소고나 장구 등의 악기를 다루게 한다.
명지대 사회교육원 정성자(국악과) 교수는 어린 시절 접하는 국악은 악기와 춤, 소리 등을 따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종합예술 형태로 한꺼번에 습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제대로 국악 교육을 받으면 몇 개 악기에 치중하는 서양 음악 교육에 비해 정서적, 음악적 효과가 훨씬 크다고 말했다.
초기에 접하는 국악기는 소고나 장구, 북 등 타악기가 좋다. 타악기는 리듬감을 익히기에 제격이다. 특히 양손을 쓰는 장구는 두뇌의 균형 잡힌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단국대 서한범(국악과) 교수는 국악 영재가 아니라도 초등학교 때 판소리를 배우면 성량이 커지고 부정확한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며 무엇보다 자신의 뿌리에 대한 확인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다훈이가 배운 것은 국악만이 아니다.
예전엔 밥 먹으면서 막 뛰어다녔죠. 한 숟가락 먹고 사라지곤 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고 잘 참아요.(어머니 구연지 씨45)
아이는 국악과 만나면서 훨씬 의젓해졌다. 구 씨는 아이가 차분해지고 자신감도 커졌다며 어떤 때는 벌써 철이 들었나 싶을 정도로 예절도 바르다고 말했다.
생활습관도 많이 바뀌었다. TV 시청과 컴퓨터 게임 시간이 크게 줄어든 대신 누나와 함께 악기를 연주하는 시간이 늘었다. 좋아하는 게임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담아 짬짬이 즐긴다.
소리는 끊이지 않는다
다훈이의 소리 선생님인 박 씨는 서도소리에 미친 사람으로 불린다.
1983년 군부대 취사병이었던 그는 부대에서 쓸 떡을 구하러 서울에 나왔다가 잠실 석촌호수에서 운명의 소리를 들었다. 평양 권번의 마지막 기생세대로 인간문화재였던 김정연 선생(1987년 작고)의 수심가였다.
키가 150cm도 안 되는 할머니가 소리를 하는데 마치 벼락을 맞은 것 같았습니다. 그 길로 내 운명은 정해졌지요.
다음 해에 제대한 그는 병마에 시달리는 김 선생을 찾아 소리를 배우며 스승의 말년을 지켰다. 가례헌에는 은사의 유품이 전시된 금홍관(김정연 선생의 기명에서 따온 명칭)과 배뱅이굿으로 유명한 이은관(91) 옹을 위한 방이 있다.
소리요? 다 팔자고 운명이죠. 김 선생님이 작고한 지 올해로 20년이 됩니다. 그때로 되돌아간다고 해도 다시 그 소리를 찾아갈 겁니다.
그의 어린 제자가 배뱅이굿의 한 대목을 불렀다.
서산낙조 떨어지는 해는 내일 아침이면은 다시 돋건마는 황천길이 얼마나 먼지 한번 가면은 다시 못 오누나 에.
서도소리 특유의 고음이 아이의 목소리에 섞여 좁은 공간에 메아리친다. 열한 살 다훈이가 배뱅이의 한을 아는지 모르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우리의 소리는 그렇게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