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행위에 대한 불확실한 의지를 나타내는 표현.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에 대해 확실하게 결정한 것은 아니지만 화자가 그 행위를 할 생각이 있음을 나타낸다. 확실성의 정도가 약한 의지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문
담화 예문 가: 방학 때 뭐 할 거예요?
나: 특별한 계획은 없고 중국어 공부나 할까 봐요.
가: 뭐 시킬래요?
나: 저는 비빔밥을 먹을까 봐요.
가: 수업이 끝나면 뭐 할 거예요?
나: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릴까 봐요.
가: 주말에 등산하러 갈래요?
나: 저는 피곤해서 집에서 쉴까 봐요.
가: 저는 이 옷을 살래요. 수지 씨는요?
나: 저는 양말이나 살까 봐요.
문장 예문
· 졸려서 커피를 마실까 봐요.
· 저녁에 영화를 보러 갈까 봐요.
· 한국어 공부를 위해 뉴스를 들을까 봐요.
· 심심한데 만화책을 읽을까 봐요.
· 공원에 가서 자전거를 탈까 봐요.
· 너무 늦었는데 이제 집으로 돌아갈까 봐요.
· 저녁으로 스파게티를 만들까 봐요.
· 왕밍 씨에게 제가 먼저 사과할까 봐요.
· 시간도 많은데 한강까지 걸을까 봐요.
· 너무 더운데 머리를 자를까 봐요.
· 배가 고픈데 라면이나 먹을까 봐요.
· 이번 가을에는 제주도로 떠날까 봅니다.
* ‘-을까 보다’는 말하는 사람의 의지나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특별한 계획은 없고 중국어 공부나 할까 봐요.’의 문장에서 볼 수 있듯이 다소 불확실하고 약한 의지의 느낌을 주는 게 일반적이다. 예에서 볼 수 있듯 해요체의 종결형으로 주로 사용되며, 화자 ‘나’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을까 보다’는 불확실하고 약한 의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배가 고픈데 라면이나 먹을까 봐요.’와 같이 차선의 선택을 나타내는 조사 ‘이나’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