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절이 뒤 절에 대해 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동사나 형용사, ‘이다, 아니다’에 붙어) 어떤 일을 가정하여 조건으로 삼을 때 사용한다. 이때 뒤 절에는 이러한 가정하에 청자에게 명령, 요청, 부탁하는 내용이 오거나 미래에 행하게 될 일이 온다.
예문
담화 예문	
가: 선생님, 그동안 고마웠습니다.
가: 선생님, 그동안 고마웠습니다.
나: 아키라 씨, 고향에 돌아가셔서 좋은 일만 있으면 좋겠어요.
가: 네, 감사합니다.
나: 고향에 도착하거든 전화해 주세요.
가: 네, 그렇게 할게요.
가: 흐엉 씨, 한국에 살아 보니까 어때요?
나: 문화가 달라서 좀 힘들어요. 예절이 복잡해서 실수도 많이 해요.
가: 그래요? 무슨 실수를 했는데요?
가: 한국 친구 집에 초대를 받아서 부모님과 식사하는데 제가 먼저 먹었어요. 그때 친구가 “부모님이 식사를 시작하시거든 그때 먹읍시다.”라고 말했어요. 창피했어요.
가: 왕밍 씨, 퇴근 안 해요?
나: 일을 아직 못 끝냈어요.
가: 연말이라 일이 많지요?
나: 네, 일이 많아서 혼자 다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가: 하다가 힘들거든 전화하세요. 제가 도와 드릴게요.
나: 네, 감사합니다.
문장 예문
· 너무 비싸거든 사지 마세요.
· 오후에 날씨가 좋지 않거든 내일 오세요.
· 대학원을 졸업하거든 휴식을 좀 가져야겠어요.
· 장학금을 받거든 너한테 빌린 돈이나 먼저 갚아야겠다.
· 쑤완 씨를 만나거든 안부 좀 전해 주세요.
· 지금은 눈이 내리니까 이따 그치거든 나갑시다.
· 중요한 일이 있거든 이제 그만하고 나가 보세요.
· 날씨가 춥거든 제 점퍼를 입으세요.
· 첫 월급을 받거든 고생하신 부모님께 모두 드리겠어요.
· 찌개가 짜거든 말씀하세요. 다시 끓여 드릴게요.
· 조금 더 기다렸다가 줄리아 씨가 오거든 그때 같이 먹어요.
· 지하철에서 몸이 불편한 사람을 보거든 자리를 양보하세요.
 
* ‘-거든’은 ‘어떤 일이 사실이거나 사실로 실현되면’의 뜻을 지닌 연결어미이다. ‘도착하거든 전화해 주세요’에서 ‘도착하거든’은 도착하는 것이 실현되면’의 뜻으로, 앞 절의 조건이 성립되면 ‘전화를 해 달라’는 뒤의 절이 접속되어 있다. ‘부모님이 식사를 시작하시거든 그때 먹읍시다’에서 ‘먹읍시다’의 조건은 앞 절인 ‘부모님이 식사를 시작하다’이다. 주로 뒤 절에는 명령, 요청, 부탁의 내용이 오거나 아직 실현되지 않은 미래의 일이 온다.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