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국학의 제2단계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에 고려 국초에 새로이 편찬된 삼국사는 삼국의 역사를 우리 나라의 역사로 통합하여 인식함에 기여하였고, 사관(史館)이 설치되어 역대 각 왕의 실록을 편찬함으로써 민족문화의 기록을 상세히 남기는 결과를 가져왔다. 12세기 중엽의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중세적인 유교문화의 역사관에서 고대사가 재해석되고 정리되었다.
원나라의 정치적 간섭을 받은 13세기 말 일연이 ≪삼국유사≫를 썼다. 이 책은 불교 신앙을 위해서 쓰여진 책이지만 ≪삼국사기≫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단군조선으로부터 신라 말까지의 역사와 신화, 민속, 불교신앙을 상세히 전해주고 있는 민족지이다.
이와 거의 같은 때에 편찬된 이승휴의 ≪제왕운기≫에서는 우리 나라가 영역적으로 중국과 구분되는 지역임과 동시에 독자적인 역사를 가져왔음을 강조하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호국적인 목적으로 불교의 대장경이 판각되었다. 이는 불교문화의 총결집이라 할 수 있다. 대장경을 조판함으로서 목판인쇄문화가 발전하였고, 금속활자가 발명되어 인쇄술의 발전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그리고 원나라를 통하여 중국문화가 대량으로 수용됨으로써 문화적 발전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고, 송나라의 주자학이 수용되어 새로운 유교철학이 수용되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