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의상과 색채
흰옷은 한국인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을 가리켜서 백의민족(白衣民族)이라고도 말한다. 그것은 공기(工技)·농민·서민은 물들인 옷을 입지 못하게 한 한국 문화의 특수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1357년(공민왕 6년) 사천소감 (司天少監) 우필흥(于必興)은 복색(服色)을 오행에 맞도록 개혁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 1406년(태종 6년) 황해도 관찰사 신호(申浩)가 상언하기를 무색옷은 좀먹기 쉽고, 또 만들기 어려우므로 백색을 청색(우리 나라는 東方이며, 東方은 오행으로 볼 때 靑色이므로)으로 하자는 등 탈백색(脫白色)의 노력도 기록에는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은 모두 무색 천[白紵]으로 된 옷을 입었다.
한편, 관복(冠服)·왕복(王服)·영관복(令官服)·국상복(國相服)·근시복(近侍服)·종관복(從官服)·경림복(卿臨服)·한관복(閒官服)·서관복(庶官服)과 같은 공복(公服)은 그 품계 및 계급별로 색채를 사용하였다. 높은 계급일수록 적색·자색이 많고 낮은 계급일수록 청색·황색·백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시대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자색(紫色)·비색(緋色 : 분홍빛이 도는 빨강)·청색·황색 등이 공복 색(公服色)의 주조를 이루었다.
남자의 통상 예복인 도포는 밝은 옥색이며, 관례 때 관자(冠者)는 청포(靑袍)를 입었다. 신부의 혼례 예복은 녹의홍상(綠衣紅裳, 또는 紅色 저고리·藍色 치마)을 입었다. 그리고 문무관이 종묘 제례 때 입는 흑단령(黑團領)은 검은색이다. 또한 상례 때에는 백도포(白道袍)·소복(素服)·소혜(素鞋 : 신발)를 신는다.
신부가 신랑집에 들어갈 때 머리에서부터 온 몸을 덮는 면사포(面紗布)는 홍사(紅紗)로 만든 것이다. 조선시대 무관의 예복인 동다리옷은 전체가 주홍색이고 소매 부분만 적색(赤色)이다. 무당이 입는 원삼(圓衫)은 색동저고리에 청색 치마이다. 신생아는 목욕 뒤 백색 옷을 입히고 과장(科場)에 입장할 때 청포에 유건(儒巾)을 쓴다.
이와 같이 오례 및 일반 서민의 관혼상제 및 기타 여러 가지 의식에 따라 각각 다른 의상과 다른 색채의 옷을 입었다.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용품까지도 이러한 이치에 따름으로써 다양한 색채, 다양한 의미를 부여한 문화를 이루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