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노니 이 연못은 어찌 이리도 맑을까. / 발원지에서 쉬지 않고 물이 흘러들기 때문이지.
(半畝方塘一鑒開, 天光雲影共徘徊. 問渠那得淸如許, 爲有源頭活水來.)
―‘책을 읽다 든 생각(觀書有感·제1수)’ 주희(朱熹·1130∼1200)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연못. 못물이 어찌나 맑고 투명한지 하늘 풍경이 고스란히 물속에 담겨 일렁거린다. 너른 바다나 호수라면 모를까 100평 남짓한 작은 연못이 왜 이리도 거울처럼 청명할까. 수원(水源)으로부터 끊임없이 활수(活水)가 흘러들기에 가능한 일이다. 멈추거나 고여 있지 않고 늘 새로운 충전이 이루어지니 썩지도 혼탁해지지도 않고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한다. 이 이치는 시인이 연못가를 산책하던 중 물의 발원지를 발견했기에 떠올린 게 아니다. 시제에서 보듯 책을 읽다 문득 든 생각이다. 독서를 통해 부단히 새로운 지식과 지혜를 받아들이고 축적해 갈 때 우리의 정신세계도 그만큼 참신하고 넉넉해진다는 이치로 읽힌다. 공자 이래 유학을 집대성하여 성리학으로 발전시킨 사상가답게 시인은 자연 경물의 범상한 이치에서 그예 학문 수양의 진리 하나를 이끌어냈다.
이 시는 2수로 이루어진 연작시. 제2수에서도 시인은 마치 한 폭 경치를 읊조리듯 독서의 효용을 은유한다. “간밤 강가에 봄물이 불어나니 거대한 싸움배조차 깃털처럼 가볍게 뜬다. 여태껏 그걸 옮기느라 공연히 애만 썼거늘 오늘은 강 가운데를 잘도 떠다니는데.” 한껏 힘을 동원한다고 해서 거함(巨艦)을 움직일 수 있는 건 아니다. 봄물이 불어나 강이 깊어지면 배는 저절로 나아간다. 독서로 내공을 쌓으면서 느긋하게 조건이 무르익기를 기다리라는 세심한 충고로 들으면 되겠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