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쳐다볼 때마다 서글퍼지는 이 마음,/저 달은 움직여도 나는 꼼짝 못하네./ 어느 때면 한나라 사신을 만나/날 위해 화공((화,획)工)을 참수해달라는 서신을 보낼거나.
(一回望月一回悲, 望月月移人不移. 何時得見漢朝使, 爲妾傳書斬(화,획)師.)
―‘왕소군(王昭君)’ 최국보(崔國輔·당 현종 시기에 활동)


북방 흉노의 잦은 침략에 한나라는 강온 양면책을 구사했다. 대표적인 회유책은 흉노의 왕 선우(單于)에게 황실 공주를 출가시켜 혼인 관계를 맺는 것이었다. 공주로 신분을 위장한 황실 친인척이나 후궁을 보내는 경우도 흔했다. 원제(元帝)는 워낙 후궁이 많아 일일이 만날 수 없게 되자 평소 화공이 그려둔 후궁들의 초상화를 통해서 자신이 총애할 후궁을 지목하곤 했다. 그러자 후궁들은 화공의 환심을 사려고 앞다투어 뇌물을 바쳤는데 왕소군만은 이에 응하지 않았으니 화공이 그 미모를 제대로 그렸을 리 만무하다. 황제의 주목을 받기는커녕 급기야 흉노 땅으로 끌려가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낙안(落雁) 미녀’, 소군이 흉노 땅으로 갈 때 그 미모에 넋을 잃고 ‘하늘을 날던 기러기가 땅에 떨어질 정도’였다지만 그 일생은 기구했다. ‘어느 때면 한나라 사신을 만나 화공을 참수해달라는 서신을 보낼거나’라는 호소가 괜스레 나왔겠는가.
소군의 원한을 대변하는 시는 차고 넘친다. 이백은 “생전에 가진 돈 없어 억울하게 그려진 초상화, 죽어서 남긴 무덤이 한숨을 자아낸다”라 했고, 이상은(李商隱)은 “화공 모연수(毛延壽)의 그림은 거의 신통한 경지였건만 황금에 눈이 멀어 미녀를 제대로 보지 못했네”라 했다. 그러나 왕예(王叡)는 “화공이 추하게 그린 걸 원망 말고 황제께서 그대를 보내 화친한 것도 탓하지 마라. 그때 만약 흉노에게 시집가지 않았다면 한낱 궁중 무희로나 남았을 테니”라 하여 다른 각도에서 해석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